목록취미생활 (186)
잡동사니

이제서야 2분기 리뷰를 올리게 된 점 사죄드린다...... 취직도 하고 게임도 하고 인간관계도 신경쓰고 일이 많지만 다 핑계인 거 잘 안다. 요즘 애니들이 재미없어져서 그런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종말 트레인은 어디로 가나? 기대를 안 했는데 꽤나 괜찮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었다. 결말은 다소 뻔했지만 이런 상상력을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있었다는 사실이 만족스러웠다. 초반까지는 그래도 성우 업계의 현실을 보여주나 싶었더니 여지없이 판타지스러운 내용 전개가 진행되어버린 성우 라디오의 속사정. 근래 일어난 모 성우의 동료 험담 루머를 생각하면서 보면 그냥 웃기기 그지없다. 위스키에 관심이 있는지라 보게 된 바텐더 신의 글라스. 위스키는 애니메이션 내내 거의 등장하지 않았지만 내용 자체가 재밌어서 ..

이제서야 1분기 리뷰 글을 올린다... 이것저것 정신팔린 데가 많아서 블로그에는 손도 못 대고 있는 상황이다. 너무 흔해빠진 전개였던 원치 않는 불사의 모험가. 약한 주인공이 모종의 이유로 힘을 얻어 먼치킨이 되고 여자들도 꼬인다는 내용. 전개라도 빨랐으면 좋았을텐데 그것마저 느려서 이 작품만의 이렇다할 매력이 전혀 없었다. 판타지 먼치킨물 중에서는 그나마 참신했던 작품. 여주인공이 레벨 99라서 최강인데도 불구하고 각종 오해를 이겨나간다는 점이 볼만했다. 다만 전개를 빠르게 가져가다보니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성이 오락가락하는데, 그 부분은 전개 속도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아닌가 싶다. 마왕까지 잡으면서 스토리의 기승전결을 확실하게 끝냈다는 것도 장점이다. 게임 홍보를 위해 나왔던..

헥블지 하려다가 초반 템값이 너무 비쌀 것 같아 변성 번개도관 지뢰로 시작했다. 빌드업 이후 커런시를 좀 벌어서 소실 속낙 할배로 엔드보스들을 패고 40챌도 찍은 뒤, 고난 mf 파밍이 맛있다길래 다시 역저항 버팀대 치프틴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이렇다 할 득템이 없어서 시시해서 헤드헌터랑 마피 덥커 던지고 접었다. 아마 더 이상 poe를 열심히 하긴 쉽지 않을 것 같은데 마지막 시즌을 잘 즐겨서 만족스럽다.

여태까지 애니메이션 하나씩 리뷰했었는데 글 길이가 짧고 영양가가 없어서 그냥 하나로 다 합치기로 했다. 아마 앞으로도 이러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없는 건 안 본 애니메이션이라 리뷰가 없다. 앞으로 보게 되면 글을 수정해서 추가할 듯? 이능력 배틀물로 흘러가고 있는 카미에라비. 1기인 줄 알았는데 2기 방영 예정이라고 한다. 묘하게 적응이 되지 않는 3D 모델만 버티면 볼만한 내용이었는데 1기 마지막에 내용을 다 던져놓는 전개가 아쉬웠다. 등장인물들의 행동 연유에 대한 내용이라 진행 중간중간에 풀었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래도 1기 마지막 내용 자체는 최근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인간 사회에서 절대 없어지지 않을 불평등'을 다루는지라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 나갈 지가 기대된다. 원작 ..

신비주의 컨셉의 마케팅으로 화제가 됐던 지브리의 신작을 용산에서 보고 왔다. 할아버지가 늙어서 그런지 자기 자서전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서 하고 싶은 말만 잔뜩 했다. 모험에 가족애, 동료애, 거기다 반전(反戰) 메시지까지... 2시간 러닝타임에 비해 너무 많은 걸 담아 소화하기 거북했는데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주인공이 2시간 러닝타임 중 거의 한 시간 가까이를 모험할까 말까 간을 본다는 것이다. 행방불명이나 움직이는 성 같은 경우 도입부가 비교적 짧고 모험 파트가 빠르게 시작됐는데, 이번 작품은 도입부만 한 시간 가까이 되니 흥미가 생기기는 커녕 피곤하고 지루하게만 만들 뿐이었다. 다시 말해 앞에서 말한 메시지들을 한 시간만에 다 소화시키고 나와야 한다는 것. 3시간짜리 오펜하이머를 볼 때는 시간..

넷플릭스에서 방영했던, 우주소년 아톰의 일부분인 플루토를 애니메이션화 한 것. 작화를 우라사와 나오키가 담당했는데, 이 사람의 전작들인 몬스터와 20세기 소년을 굉장히 재미있게 봤던지라 이 애니메이션도 보게 되었다. 그러나 우라사와 나오키 특유의 스릴러 스타일을 전혀 탈피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범인이 누구인지 한껏 궁금하게 만들어 놓고서는 엔딩은 반전(反戰) 메시지라는 게 상당히 김이 빠졌다. 로봇 7인방 중 게지히트를 제외한 나머지 6인의 역할이 거의 없었다시피 하다는 점도 애니메이션의 어쩔 수 없는 한계같다.

정말 별로였던 로맨스 애니메이션. 터널에 들어가면 시간이 빠르게 흐르지만 잃어버린 것을 찾을 수 있다는 설정을 가지고 두 남녀가 얽히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남자 주인공은 죽은 여동생을 되찾기 위해(또한 여동생의 죽음으로 사실상 파탄난 가족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터널에 들어갈 유인이 충분해 보였다. 그러나 여자 주인공의 동기가 잘나가는 만화가 되기로 남자 주인공에 비해 너무 얕아서 몰입이 되지 않았다. 마지막 부분에서도 갑자기 남주와 여주가 서로에 대한 애정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것도 여태까지 떡밥이 너무 적었기에 결말이 뜬금없어 보였다. 러닝타임을 늘려서 빌드업을 착실히 했다면 더 나았을 것 같은 애니메이션.

포스트 아포칼립스 + 괴물 퇴치를 목적으로 하는 인간들이 나오는 애니메이션. 특정 인간들이 괴물로 변한다는 설정에 남녀 2인조 페어로 다니고 한 명은 괴물 후보자로 보이기까지 하니 블랙 불릿 냄새가 상당히 많이 났다. 액션 씬도 준수했고 이야기 전개도 매끄러워 모자람이 없었다. 다만 아직 진행 중인 만화를 애니화한 것이기에 스토리가 중간 부분에서 끊겼는데 그것 때문에 찝찝하고 아쉬움이 남았다.

분위기가 상당히 독특했던 덱빌딩 로그라이크 게임. 동물, 로봇 등의 여러가지 테마가 주어지고 게임 내에서만 두 번의 큰 변화가 있다는 점도 매력적인 게임이다. 단점은 강제로 다회차 플레이를 요구한다는 것과, 관심도 없는 ARG 장르와의 혼합이 되겠다. 뭐 좌표 찍고 인터넷 사이트 어디를 방문하고 이런 건 왜 유저에게 시키는 걸까. 그냥 게임 내에서 다 보여주면 안되는 걸까.